반응형
기내 보조배터리 충전기 2025 최신 가이드
2025년 최신 규정에 따라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기준이 대폭 강화되었습니다. 용량 제한, 개수 제한, 단락 방지까지 반드시 확인하세요.
1. 왜 보조배터리 규정이 강화됐나요?
반응형
2025년 1월 에어부산 화재 사고 이후 국토부는 3월부터 모든 국내선/국제선 항공사에 대해 보조배터리 규정을 강화했습니다.
- 직접 휴대 필수 (위탁 금지)
- 기내 충전 금지
- 단락 방지 미이행 시 반입 불가
2. 국제 기준 (IATA)
용량(Wh) | 반입 가능 여부 | 비고 |
---|---|---|
100 이하 | 가능 | 개수 제한 없음 |
100–160 | 가능 | 항공사 승인 필요 (최대 2개) |
160 초과 | 불가 | 기내/위탁 모두 금지 |
항공보안 365 확인 바로가기
3. 국내 항공사 규정
대한항공, 아시아나, 제주항공 등 모두 IATA 기준을 따릅니다. 특히 다음 사항을 추가로 강조합니다.
- 오버헤드 선반 보관 금지
- 기내 충전 금지
- 보조배터리는 반드시 손에 들고 탑승
4. 보조배터리 용량 계산법
Wh = (mAh × V) ÷ 1000
예시: 20,000mAh × 3.7V ÷ 1000 = 74Wh (기내 반입 가능)
5. 보조배터리 반입 체크리스트
- Wh 용량 확인
- 단자 보호 (절연테이프, 지퍼백 등)
- 충전하지 않고 탑승
- 기내 좌석 포켓에 보관
6.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몇 개까지 들고 갈 수 있나요?
A. 100Wh 이하 제품은 개수 제한 없이 가능. 100–160Wh는 최대 2개, 항공사 승인 필수.
Q2. 30,000mAh는 가능할까요?
A. 약 111Wh로 중형 배터리에 해당. 항공사 승인 시 최대 2개까지 허용.
Q3. 기내에서 충전해도 되나요?
A. 안 됩니다. 2025년부터 모든 국내 항공사는 기내 충전을 금지하고 있습니다.
보조배터리는 충전하면 안되지만 충전단자 연결하여 휴대폰 충전은 가능합니다.
Q4. 단락 방지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?
A. 보호처리 미이행 시 검색대에서 압수될 수 있습니다.
7. 관련 링크
반응형